계란 노른자 색깔 차이: 주황색 vs 노란색

반응형

사진처럼 계란 노른자 색이 왜 다르나요? 하나는 주황색에 가깝고 다른 하나는 완전 노란색인데 무슨 차이가 있나요? 계란 노른자 색깔 차이가 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계란 노른자 색깔 차이

계란 노른자 색깔 차이: 주황색 vs 노란색

계란의 난황(노른자) 색소는 사료로부터 유래하며 대부분 카로티노이드(carotenoid)계의 색소(특히 지용성 색소)가 축적되어 나타나는 것입니다.

특히 난황색을 짙게 하는 것은 크산토필(xanthophyll)에 속하는 루테인과 체산틴 등이 많이 함유된 녹엽 등을 사료로 급여했을 때 나타나는 특징입니다.

난황색은 로슈난황색도팬을 기준으로 삼는데 1 ~ 15번까지로 구분합니다.

숫자가 낮을수록 창백한 난황, 높을수록 오렌지색에 가까운 난황색을 띱니다.

대부분은 난황색은 일반적으로 5 ~ 7 정도의 색도를 보이는데요.

계란 등급판정을 하다 보면 동일한 농장, 또는 여러 농장의 계란들이 서로 다른 노른자 색을 보이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노른자의 색

위 사진처럼 노른자의 색이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노른자의 색깔은 사료 등 닭의 먹이 속에 들어있는 카로티노이드에 의해서 결정되며 동일한 사료일지라도 그 사료에서 유래되는 다양한 색소 급원의 착색효율은 해당 닭 개체마다의 소화율, 전이효율, 대사 및 침착률 등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궁금증 해소를 위해서 조금 상세한 내용을 적어드리겠습니다.

난황 착색은 식물, 조류, 박테리아, 곰팡이 등 자연에 존재하는 카로티노이드(carotenoid)가 축적되어 나타난다.
카로티노이드는 과일과 채소류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천연색소이며, Canthaxanthin의 경우 난황의 착색을 강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적색 카로티노이드로 잘 알려져 있다.
옥수수, 알팔파, 파프리카 및 금잔화와 같은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600종 이상의 카로티노이드가 분리 및 이용되고 있다.
카로티노이드는 인공적으로 합성되기도 하며, 산란계는 이런 카로티노이드를 직접 합성할 능력이 없으므로 균일하고 일정한 수준의 난황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료에 이 색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다양한 색소 급원의 착색효율은 소화율, 전이효율, 대사 및 침착률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자주 묻는 질문(FAQ)

주황색 노른자와 노란색 노른자 중 어느 쪽이 더 좋은가요?
사실, 노른자의 색깔은 계란의 품질이나 영양성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노른자의 색은 닭이 먹는 사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닭의 소화율, 전이효율, 대사 및 침착률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주황색 노른자와 노란색 노른자 사이에 품질이나 영양성분에 큰 차이는 없습니다.
계란 노른자의 색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계란 노른자의 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료에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일정하게 포함되어야 합니다. 산란계는 카로티노이드를 직접 합성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사료를 통해 이 색소를 섭취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역시 닭의 소화율, 전이효율, 대사 및 침착률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계란 노른자의 색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계란 노른자의 색은 닭이 먹는 사료의 종류에 따라 결정됩니다. 사료의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노른자에 축적되어 색을 만들어냅니다. 또한 동일한 사료라도, 닭의 소화율, 전이효율, 대사 및 침착률 등이 다르기 때문에 노른자 색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 👆

반응형
그리드형
안녕하세요? 필요한 때에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를 눌러 주세요

개의 댓글